prev
이제 만들어진 archetype을 써먹을수 있게한다.
archetype폴더 바로 아래있는 pom에서 Maven Build를 한다. 명령어는 archetype:update-local-catalog 이다.
별문제없이 빌드에 성공했을것이다. 그리고서 내가 만든 archetype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해본다.
default local에 내가 배포한 아키타입이 있다..^^ 혹시 snapshot으로 아키타입을 만들었다면 아래 체크박스 include snapshot archetypes를 체크한다. 그리고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맨 처음 작성했던 mywebproject구조와 샘플소스 HelloWorld, HelloWorldTest파일과 함께 생성될것이다.
추가적으로 archetype:update-local-catalog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면 메이븐 root 폴더에... 음 그러니까... 로컬 저장소 바로 위.. 에 archetype-catalog.xml 파일이 생겨난다. 난 내가 지정한 메이븐 폴더에 생길줄 알았는데... 그런거 무시하고 이클립스 default .m2 폴더에 만들어주더라.
이제 만들어진 archetype을 써먹을수 있게한다.
archetype폴더 바로 아래있는 pom에서 Maven Build를 한다. 명령어는 archetype:update-local-catalog 이다.
별문제없이 빌드에 성공했을것이다. 그리고서 내가 만든 archetype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해본다.
default local에 내가 배포한 아키타입이 있다..^^ 혹시 snapshot으로 아키타입을 만들었다면 아래 체크박스 include snapshot archetypes를 체크한다. 그리고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맨 처음 작성했던 mywebproject구조와 샘플소스 HelloWorld, HelloWorldTest파일과 함께 생성될것이다.
추가적으로 archetype:update-local-catalog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면 메이븐 root 폴더에... 음 그러니까... 로컬 저장소 바로 위.. 에 archetype-catalog.xml 파일이 생겨난다. 난 내가 지정한 메이븐 폴더에 생길줄 알았는데... 그런거 무시하고 이클립스 default .m2 폴더에 만들어주더라.
저 파일을 이클립스 maven 설정에 추가할수도 있고 아까처럼 그냥 default local 을 사용해도 상관없다.
쓰는 사람 편하게 쓰면 될듯...
이것으로 나만의 아키타입 만들기는 끝...
다음 포스팅은 쓸모있는 아키타입 만들기를 한번 해볼까 한다 -_-;;
(지금은 그냥 되는가 안되는가 해본 정도로 생각하자 ^^)
next
'Mave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ven을 익숙한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.. (후기) (0) | 2012.02.18 |
---|---|
maven을 익숙한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.. (3) (0) | 2012.02.12 |
maven을 익숙한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.. (2) (0) | 2012.02.12 |
maven을 익숙한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.. (1) (0) | 2012.02.12 |
mac os에서 ${basedir} 안읽히는 문제... (0) | 2012.02.12 |